Surprise Me!

'김정은 방중 깜짝 카드'로 美·러시아 틈새 끼어드는 中

2025-08-28 24 Dailymotion

“북한 노동당 총서기, 국무위원장 김정은.” <br /> 28일 오전 베이징 메이디야 호텔에 마련된 9·3 승전 80주년 기자회견장.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이어 김 위원장의 이름을 말하자 현장의 내·외신 기자들은 일제히 “와”를 외쳤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에 응한 26개국 정상 가운데 예상 밖의 손님이라는 반응이었다. <br />   <br /> 우원식 국회의장의 이름은 의회대표나 부총리를 파견한 한국·동티모르·베네수엘라·싱가포르·이집트·불가리아 6개국 중 가장 먼저 호명됐다. 다만 26명의 정상급과 구분해 다른 의전을 제공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br />   <br /> 중국은 두 차례의 대규모 홈그라운드 외교로 미국 견제에 나선다. 지난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러 정상회담에 그동안 촉각을 곤두세우던 중국이 역대 최대인 22개국 정상이 참가하는 톈진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담과 26개국 정상을 초대한 9·3 전승절 열병식을 연이어 개최한다. <br />   <br /> 특히 중국은 김 위원장과 함께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초대하는 데에 공을 들였다. 왕이 외교부장이 지난 주 직접 인도를 방문해 지난 2018년 칭다오 SCO 정상회담 이후 7년 만에 중국을 방문하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나 톈진 SCO 회담 준비 상황을 설명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5차 중국 방문은 2019년 1월 이후 6년 만에 성사됐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손잡고 중국을 견제하려는 연러항중(聯俄抗中) 시도에 맞서 중국은 북한과 인도 두 장의 카드를 준비한 셈이다. <br />   <br /> 28일 훙 부장조리는 북·중 전통 우호 관계의 새로운 챕터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기자...<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2499?cloc=dailymotion</a>

Buy Now on CodeCanyon